2022. 10. 10 서산중학교 과학시험범위 요점정리

2022. 10. 10. 16:51사회

2022. 10. 10 서산중학교 과학시험범위 요점정리
 
 
 
심장과 정맥에서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 구조는 판막이다.
산소 운반 작용을 하는 혈구는 적혈구이고, 식균 작용을 하는 혈구는 백혈구이다.
온몸 순환 과정에서 동맥혈이 정맥혈로 바뀐다.
산소가 많은 폐에서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고, 산소가 적은 조직 세포에서는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떨어진다.
산소 운반 작용을 하는 적혈구 수가 적으면 빈혈이 생길 수 있고, 혈액 응고 작용을 하는 혈소판 수가 적으면 출혈이 잘 멈추지 않는다.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은 조직 세포에서 모세 혈관으로 이동하고, 산소와 영양소는 모세 혈관에서 조직 세포로 이동한다.
호흡계는 숨을 쉬면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들숨이 일어날 때는 갈비뼈가 올라가고, 가로막이 내려간다.
날숨이 일어날 때는 흉강의 부피가 작아지고, 압력이 높아진다.
날숨에는 들숨보다 산소가 적고, 이산화 탄소는 많다.
기체 교환은 기체의 농도 차이에 따른 확산에 의해 일어난다.
이산화 탄소의 농도는 폐포 보다 모세 혈관에서 더 높다.
산소는 폐포에서 조직 세포 쪽으로 이동한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분해될 때 공통적으로 만들어지는 노폐물은 물과 이산화 탄소이다.
단백질이 분해될 때 만들어지는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하므로 간에서 독성이 약한 요소로 바뀐 다음 콩팥에서 오줌으로 나간다.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과정은 세포 호흡이고, 소화.흡수되지 않는 물질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과정은 배출이다.
사구체에서 보먼주머니로 여과된 액체는 세뇨관을 따라 이동한다. 세뇨관과 세뇨관을 둘러싼 모세 혈관 사이에서 재흡수와 분비가 일어나 오줌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콩팥 깔때기에 모인다.
조직 세포에서 발생한 이산화 탄소는 순환계를 통해 폐로 이동하여 날숨으로 나간다.
한 가지 물질로 이루어진 물질은 순물질이고, 두 가지 이상의 순물질이 섞여 있는 물질은 혼합물이다.
끓는 점은 물질의 특성이므로 물질의 양이 많아져도 끓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물질의 종류가 다르면 물질의 양에 관계없이 끓는 점이 다르다.
같은 종류의 물질은 녹는점과 어는점이 같다. 물질의 양을 늘려도 끓는점 변하지 않는다.
혼합물은 혼합 비율에 따라 물질의 특성이 달라진다.
액체 상태의 혼합물을 가열할 때 끓어 나오는 기체를 냉각하여 순수한 액체를 얻는 방법을 증류라고 한다.
밀도가 다른 두 고체 혼합물을 분리할 때는 밀도가 두 물질의 중간 정도이며, 두 물질을 모두 녹이지 않는 액체에 넣어 분리한다.
좋은 볍씨는 소금물보다 밀도가 크므로 아래로 가라앉고, 쭉정이는 소금물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위로 뜬다.
염화 나트륨과 질산 칼륨 혼합물은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를 이용한 재결정, 물과 에탄올, 소금물에서 소량의 물을 분리하는 것은 끓는점 차를 이용한 증류로 분리한다. 물과 식용유 혼합물은 밀도 차를 이용한 깔대기로 분리한다.
배기가스나 미세 먼지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큰 반면, 공기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다. 따라서 비가 오면 오염 물질이 물에 녹아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이 줄어든다.
밀도가 큰 물질은 아래로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은 위로 뜬다.
색깔, 냄새, 맛은 물질의 양에 관계없이 그 물질만이 나타내는 성질이므로 물질의 특성이다.
용해란 한 물질이 다른 물질에 녹아 고르게 섞이는 현상이다.
용질은 다른 물질에 녹은 물질이고, 용매는 다른 물질을 녹이는 물질이다.
일정한 온도에서 같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 문의전화 : 010-9344-9806 (전과목 개인과외) / 041-920-8889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중 2학년 2학기 중간고사 역사-세계사 시험정리  (0) 2022.10.05